
청년도약계좌 정보
청년도약계좌란?
일단 청년 도약 계좌인데 2023년 6월에 출시될 전망입니다. 대상은 만 19세부터 34세까지입니다. 군대에 다녀온 분들은 복무 기간을 빼주고요 그 다음에 이 대상자 가운데 개인 소득이 6천만 원 이하고 그다음에 가구 소득 기준이 들어갔습니다.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%보다 낮아야 가입 자격이 생깁니다.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- 가입대상 - 만 19세부터 34세까지
- 가입조건 - 개인 소득이 6천만 원 이하
-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%보다 낮아야 가입 자격
기준 중위소득
| 100% | 180% | |
| 1인가구 | 2,077,892 | 3,740,206 |
| 2인가구 | 3,456,155 | 6,221,079 |
| 3인가구 | 4,434,816 | 7,982,669 |
| 4인가구 | 5,400,964 | 9,721,735 |
| 5인가구 | 6,330,688 | 11,395,238 |
| 6인가구 | 7,227,981 | 13,010,366 |
| 7인가구 | 8,107,515 | 14,593,527 |
그래서 이런 정책 상품 중에서는 상당히 넓은 폭이라고 볼 수 있고요 청년 도약 계좌의 목표가 5년간 꾸준히 모으면 5천만 원의 목돈을 만들어준다는 겁니다. 그래서 현재의 계획대로라면 소득이 낮은 가입자일 경우에는 자기가 부은 돈의 최대 6%까지 정부가 얹어준다는 금융상품입니다.
청년도약계좌 계산
예를 들어서 최대 부을 수 있는 한도인 월 70만 원을 상정해놓고 생각을 해보면 월 70만 원의 6%를 얹어주면 74만 2천 원인데 쉽게 생각해서 정부가 6% 이자를 더 붙여준다는 뜻이기도 합니다.
이 금액대로 꾸준히 모으면 5년 뒤에는 한 4400만 원 정도가 모이게 됩니다. 일단 5천만 원에는 한참 못 미치지만 여기서 은행 이자가 다시 한번 더해지게 됩니다. 그래서 연 5% 금리를 계산하면 약 5천만 원 수준까지 올라오는데 아직 금리가 정확하게 정해지지는 않았습니다.
지난 2022년 2월에서 3월에 접수했던 청년 희망적금 당시에는 은행이 5~6% 금리를 제공했는데 현재 시중 금리가 많이 오른 걸 감안하면 5% 보다는 더 높은 7~8% 수준이 될 거라는 전망이 나옵니다.
그래서 예상대로 이런 상황이면 오천만 원을 넘게 되고요 비교를 좀 해보면 시중은행에서 월 70만 원씩 5년간 넣으면 금리 5%를 가정해도 한 4천600만 원이 조금 넘는데 이 청년 도약 계좌의 경우에는 비과세 혜택이 있기 때문에 만기 시에 시중은행 적금 상품보다 최대 700만 원까지 더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